[영상] 12월 날씨 맞아?…서울은 '천둥번개' 부산은 '우박'

조인준 기자 / 기사승인 : 2023-12-07 14:40:07
  • -
  • +
  • 인쇄
▲장대비와 함께 갑자기 쏟아진 우박(영상=X 캡처)

겨울에 본격 들어서는 12월 날씨가 시작부터 이상조짐을 보이고 있다. 서울에는 한여름 장마같은 천둥번개가 치면서 폭우가 쏟아지는가 하면, 부산에서는 시민들이 식겁할 정도로 굵은 우박이 떨어졌다.

7일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6일 서울·인천·경기도 기온이 평년보다 높게 유지되면서 오후 2~6시 사이에 천둥번개와 함께 장맛비처럼 폭우가 쏟아졌다. 양평 등 경기동부 높은 산지에서는 비가 11㎜가량 내렸다.

천둥과 함께 순간적으로 엄청난 양의 폭우가 쏟아지자, 누리꾼들은 사진이나 영상을 게재하며 "하늘에 구멍 뚫린줄" "무슨 비가 장마처럼 와?"라며 12월 폭우에 놀라워 했다.

서울은 깜짝 폭우가 쏟아진 반면, 부산에서는 때아닌 우박이 내렸다. 6일 오후 9시 전후로 해운대와 수영, 연제, 사상구 등 부산 곳곳에 직경이 0.5㎝에 달하는 우박이 5분동안 떨어졌다.

부산에 거주하는 것으로 보이는 한 누리꾼들은 소셜서비스(SNS)에 "천둥이 치더니 갑자기 우박이 쏟아졌다" "비가 오나 했는데 머리에 맞고 튕겨서 깜짝 놀랐다" "창문 두들기는 소리에 놀라 나가봤더니 좁쌀같은 우박이 길 위에 하얗게 쌓였다"며 신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원래 우박이 여름이나 가을에 내리는 거 아닌가?"라며 의아해 했다. 지난 10월에는 중부지방과 전북에, 11월에는 제주에서 우박이 내렸다.

기상청 관계자는 이날 뉴스트리와의 통화에서 "이번 우박은 기압골이 통과하면서 상층부와 하층부 온도차가 커져 대기가 불안정해졌기 때문에 내렸다"고 설명하면서도 "통상 우리나라에서 우박은 5월과 10월에 많이 발생하는데 12월에 우박이 쏟아진 건 이례적인 상황"이라고 말했다.

우박이 쏟아진 6일의 기온은 평년보다 훨씬 높은 편이었고, 일교차는 10~15℃에 달했다.

환경전문가들은 12월 우박에 대해 "기후변화 영향이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반증"이라며 12월 기온이 이례적으로 높아지면서 발생한 명백한 이상기후이고, 1월에도 우박이 발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신규 원전건설 백지화 시사한 환경장관 "탈원전은 아냐"

곧 출범할 기후에너지환경부를 이끌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새로운 원전을 짓는 데 대해 국민 공론화를 통한 재논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신규 원전을 추

"비용부담 커진다"vs"무상할당 안돼"...4차 배출권 할당계획 '대립각'

정부가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할 '제4차 국가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안'을 놓고 산업계와 시민단체들이 큰 의견차를 보이고 있다. 산업계

경기도주식회사, 탄소중립 실천 위한 '친환경 협업 기업' 모집

탄소중립 실천활동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경기도주식회사가 오는 10월 3일까지 '2025년 2차 기후행동 기회소득 사업 플랫폼 구축 및 운영' 협업 기업을 모

"철강·석유화학 배출권 유상할당 높여라...국제추세 역행하는 것"

환경부가 철강과 석유화학 등 탄소다배출 업종에 대한 4차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무상할당 비율을 종전대로 100% 유지하겠다는 방침을 내놓자, 시민단

배출권 유상할당 20% 상향...상의 "기업 비용부담 커질 것" 우려

환경부가 2026년~2030년까지 기업들의 탄소배출권 '유상할당 비중'을 현행 10%에서 15%로 올리는 '제4차 배출권거래제 할당계획'에 대해 산업계가 비용부담

한은 "극한기후가 물가상승 야기…기후대응 없으면 상승률 2배"

폭우나 폭염과 같은 극한기후고 소비자물가에 단기적인 악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1년 넘게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기후변화

기후/환경

+

美 온실가스 배출량 '깜깜이 국가' 되나...기업 의무보고 없앤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이 대형 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 보고 제도를 폐지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정책의 핵심자료였던 배출 데이터가 사라질 경

단비에 강릉 저수율 16.3%로 상승...아직 '가뭄의 끝' 아니다

이틀간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리면서 최악의 사태를 면했다. 하지만 가뭄이 해갈되기까지는 아직 갈길이 멀어보인다. 15일 강릉의 생활용수 87%를 공급하

강릉에 '반가운 비'...폭우 쏟아졌지만 가뭄 해갈 역부족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단비'가 내렸다. 아직 가뭄이 해갈될 정도는 아니지만 간밤에 내린 비 덕분에 강릉 시민들의 식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주말날씨] 전국 이틀간 '세찬 비'...강릉에도 '가뭄에 단비'

이번 주말에는 최악의 가뭄을 겪고 있는 강릉에 많은 비가 내린다는 반가운 소식이다. 이번 비는 중국에서 형성된 비구름대가 우리나라로 진입하면서

"환경장관 약속 못믿어"...세종보 천막농성 철회 안한다

4대강 보 철거를 요구하며 금강 세종보에서 500일간 농성했던 환경단체들이 농성을 중단하기로 했다가 이를 철회했다.11일 김성환 환경부 장관이 직접

화석연료 기업들 내뿜는 탄소...치명적인 폭염을 낳았다

엑손모빌 등 석유 대기업들의 탄소배출량이 2000년 이후 전세계에서 발생했던 수십건의 폭염과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