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넘어 사회가 된다'…메타버스에 공들이는 게임업계

박유민 기자 / 기사승인 : 2021-06-03 07:00:03
  • -
  • +
  • 인쇄
넥슨, 펄어비스 등 게임계 메타버스관련 신작 대거 발표
▲ '유니버스'에서 팬들은 가상공간에서 뮤직비디오 제작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 


메타버스 게임의 선두주자로 불리는 미국 에픽게임즈의 '포트나이트'가 이용자수 2억명을 돌파하며 '대박'을 터뜨린 가운데 국내 게임업체들도 '메타버스' 관련 사업에 앞다퉈 뛰어들고 있다.

3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엔씨소프트는 올초 K팝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유니버스'를 출시했다. 이 공간에서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아티스트들과 음성으로 사적인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물론 인공지능(AI) 음성합성 기술로 아티스트들의 목소리를 재현해낸 가상통화이지만 말이다. 팬들은 3D 캐릭터로 변신한 아티스트들의 뮤직비디오 제작에 직접 참여할 수도 있다. 모션 캡처 기능이 있어 뮤직비디오에서 아티스트들이 입고 나올 의상과 헤어 모두 직접 선택할 수도 있다. 이 서비스는 5월 기준 누적다운로드 800만건을 넘어섰다.

이처럼 상상 속에서만 머물렀던 일들을 현실처럼 느끼게 해주는 '메타버스'에 이용자들의 관심이 쏠리자 다른 게임업체들도 관련 서비스 출시를 예고하고 있다.

넥슨은 현재 '프로젝트 MOD', '페이스플레이(FACEPLAY)'를 개발 중이다. 넥슨 관계자는 페이스플레이에 대해서 "떨어져 있지만, 원격으로 얼굴을 보면서 같이 놀 수 있는 형태의 디지털 놀이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이용자의 얼굴을 AI 기술로 정확히 인식해 다른 사람들과 쌍방향으로 소통하는 방식의 게임으로 진행된다는 것이다. 이번 신사업 개발자의 주요 업무로 '증강현실(AR) 아바타' 시스템의 설계·개발을 명시하기도 했다.

넥슨 관계자는 '프로젝트 MOD'에 대해 "유저들이 게임을 제작하고 배포하고 운영할 수 있는 게임 제작 플랫폼"이라고 설명했다. 넥슨은 프로젝트 MOD 개발자를 뽑는 글에서 주요 개발업무로 이용자가 게임 제작에 사용할 각종 도구의 최적화와 제작된 게임의 상점·소셜기능 등을 꼽기도 했다.

이는 미국의 메타버스 대표주자로 꼽히는 '로블록스'를 연상케 한다. 이 플랫폼안에서 이용자는 직접 게임을 만들고 다른 사람에게 공개하면서 사고팔 수도 있다. 벌어들인 돈은 실제 현금으로 바꿀 수도 있다. 이 플랫폼의 월간사용자(MAU) 수는 약 1억5000만명에 이른다.

위메이드는 '로블록스'처럼 게임 내 암호화폐를 결합한 사업모델을 계획하고 있다. 위메이드는 이용자가 게임 내 얻은 이익을 실물 화폐로 교환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한 상태이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내 전투를 통해 성을 점령하고 이곳에서 임대수익을 암호화폐 형태로 얻을 수 있고, 거래소를 통해 이를 실물 화폐로 교환하는 식이다.

위메이드의 블록체인 자회사 위메이드트리가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이 접목된 첫번째 블록체인 게임 '크립토네 이도 포 위믹스'를 지난달 31일 한국 등 일부 국가를 제외한 147개국에 미리 선보이기도 했다. 

▲ 펄어비스가 공개한 2019년 '도깨비' 트레일러 영상 중 일부 (사진=유튜브 캡처) 


모바일게임 '검은사막'으로 유명한 펄어비스는 내년 메타버스 게임 '도깨비'를 선보일 예정이다. 지난 12일 2021년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정경인 펄어비스 대표는 "내년 메타버스 게임 '도깨비'를 출시할 것"이라며 "현실같은 가상세계를 구축해 문화체험과 소셜 등이 가능한 현실과 가상공간 넘나드는 게임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실제 현실과 같이 구현해주는 핵심기술인 3D 그래픽 렌더링 기술을 AI 기술과 접목해 메타버스 세계를 더욱 실감나게 구현할 것"고 덧붙였다.

관련 산업 투자 및 합병을 통해 메타버스 산업에 뛰어든 게임업체도 등장하고 있다.

컴투스는 시각특수효과(VFX) 전문업체인 '위지윅스튜디오'(이하 위지윅)에 450억원을 투자했다. 게임과 영상제작이라는 전문적인 영역과 '메타버스' 분야에서 다양한 협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컴투스 관계자는 "위지윅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통해 향후 양사간 콘텐츠 및 기술적 측면에서 다양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라며 "증강·가상·혼합(AR·VR·XR) 등 현실같은 메타버스 기술을 접목한 멀티콘텐츠를 제작할 계획"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오딘 발할라 라이징, 우마무스메등 다양한 기대작으로 주목받고 있는 카카오게임즈도 메타버스 산업에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이 회사는 지난 2012년 골프, AI, VR, AR 등 신사업 투자를 위해 카카오VX를 설립하는 등 메타버스에 대해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을 하고 있다. 카카오게임즈는 지난달 27일 자사 핵심 계열회사인 프렌즈게임즈와 블록체인 전문기업 웨이투빗의 합병을 통해 신사업 경쟁력을 강화한다고 발표했다. 블록체인은 게임 내 가상화폐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다.

Copyright @ NEWSTREE All rights reserved.

뉴스트리 SNS

  • 뉴스트리 네이버 블로그
  • 뉴스트리 네이버 포스트
  • 뉴스트리 유튜브
  • 뉴스트리 페이스북
  • 뉴스트리 인스타그램
  • 뉴스트리 트위터

핫이슈

+

Video

+

ESG

+

현대백화점, 추석 선물세트 포장재 종이로 교체 'ESG 강화'

이번 추석 선물세트 시장에서 현대백화점은 과일세트 포장을 100% 종이로 전환하며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현대백화점은 기존 플라스틱과 스티로폼

K-컬쳐 뿌리 '국중박' 하이브와 손잡고 글로벌로 '뮷즈' 확장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 등장하는 반려호랑이 '더피'의 굿즈를 판다는 소문이 나면서 전세계에서 가장 핫해진 국립중앙박물관이 방탄소년단(BTS)의 하

하나은행, 美글로벌파이낸스 선정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 수상

하나은행은 미국의 글로벌 금융·경제 전문지 '글로벌파이낸스지(誌)'로부터 '2025 대한민국 최우수 수탁은행(Best Sub-Custodian Bank in Korea 2025)'으로 선

LG생활건강, 청년기후환경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 활동 성료

LG생활건강이 자사의 청년기후환경활동가 육성 프로그램 '그린밸류 유스(YOUTH)'가 2025년 활동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2일 밝혔다. LG생활건강은 지

쏟아지는 추석선물세트...플라스틱·스티로폼 포장 '여전하네'

추석을 맞아 다양한 선물세트가 백화점과 대형마트 매대를 장식하고 있는 가운데 아직도 플라스틱이나 스티로폼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는 선물세트들

쿠팡 '납치광고' 반복한 파트너사 10곳 형사고소...수익금 몰수

쿠팡이 이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쿠팡사이트로 이동시키는 이른바 '납치광고'를 해온 악성파트너사 10곳에 대해 형사고소를 진행한다고 1일 밝혔다.납

기후/환경

+

스위스 빙하, 2015년 이후 1000개 사라졌다...'전체의 25%'

스위스 빙하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2일(현지시간) 스위스 취리히 연방공과대학 빙하연구소(GLAMOS) 연구팀은 2015년 이후 스위스 빙하가 약 25% 사라졌다

10억달러 피해 입힌 '괴물산불' 43%가 최근 10년에 발생

피해 금액이 10억달러가 넘는 대규모 산불의 약 절반이 최근 10년 사이에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2일(현지시간) 칼럼 커닝햄 호주 태즈메이니아대학 박

"고기는 일주일 한번"...'지구건강식단' 하루 사망자 4만명 줄인다

고기를 적당히 먹어도 식량 부문 탄소배출량을 절반으로 줄이고 하루 전세계 사망자를 최소 4만명씩 줄일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2일(현지시간) 요

유럽의 녹지, 매일 축구장 600개만큼 사라진다

유럽 대륙의 녹지가 개발로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1일(현지시간) 영국 가디언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영국과 유럽 전역의 위성 이미지를 분석한

기후대응 촉구한 교황...트럼프 겨냥한듯 "지구 외침에 귀기울여야"

교황 레오 14세가 사실상 기후회의론자들을 겨냥해 "지구의 외침에 귀를 기울이라"며 일침을 가했다.교황은 1일(현지시간) 로마 바티칸에서 열린 생태

"산불특별법, 산림 난개발 우려...대통령 거부권 행사해야"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산불방지법'에 대해 환경단체들이 반발하면서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그린피스 서울사무소, 환경운동연

에너지

+

순환경제

+

오피니언

+